건강을 위한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의 비밀! 함께 살펴보아요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들면서 잔병치레를 앓는 분들을 부쩍 많이 볼 수 있어요. 이는 춥고 건조한 날시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져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때문인데요, 가벼운 감기부터 바이러스성 질환에 이르기까지 겨울만 되면 각종 질병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분들도 계실 거예요. 이때 실내 적정 온도를 잘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면역력을 높이고 병을 예방할 수 있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그 내용을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왜 중요할까요?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정말 중요해요. 겨울에 많이 걸리는 질병인 감기의 원인은 대개 면역력 약화에서 비롯되는데요,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면역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답니다.
겨울철, 실내 온도를 후덥지근할 정도로 올리는 분들이 있는데, 이때 실외의 온도와 실내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 우리 몸은 온도 차이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돼요. 또, 높은 실내온도에 적응해버린 몸은 바깥의 추운 날씨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 면역력이 더욱 약해지는 것이랍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 살펴보기
그렇다면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는 몇도일까요? 전문가들은 적정 실내 온도를 18도에서 20도 사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이렇게 하면 추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것은 물론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과도 낼 수 있답니다. 춥고 건조한 환경, 덥고 습한 환경 모두 체내 면역력을 떨어뜨려 호흡기 질호나 등에 노출되기 십게 하므로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듯 싶어요. 이때, 기온이 내려가는 아침과 저녁에는 실내 온도를 약간 더 높이고 평소 땀이 많이 나거나 더위를 잘 타는 체질이라면 실내 온도를 살짝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답니다.
겨울철 실내 위생 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분들이 난방을 위해 겨울철에는 창문을 닫고 생활을 하는 편이에요. 하지만 밀폐된 상태에서 생활하면 실내 공기가 미세한 먼지 등으로 인해 더욱 탁햊리 수 있어요. 따라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자주 시켜주고 공기청정기 등으로 먼지를 제거해주는 것이 좋아요.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 먼지 등에 대한 호흡기의 방어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가습기 등을 사용해 적정습도를 유지시켜야 해요. 하지만 온도나 습도가 너무 높으면 오히려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가 서식하지 좋은 환경을 제공하므로 실내 온도는 22도를 넘지 않게, 습도는 40~60%로 유지한는 것이 좋아요. 물론, 이때 공기청정기나 가습기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은 필수적이겠죠?!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습관을 망치는 야식증후군 극복 방법 살펴보기 (0) | 2016.12.21 |
---|---|
연인과 함께 가기 좋은 국내 크리스마스 여행지 BEST3 (0) | 2016.12.21 |
보송보송 윤기 나는 피부를 위한 겨울철 피부관리 방법 (0) | 2016.12.16 |
국내 겨울 여행지 추천, 가족과 함께 떠나보세요! (0) | 2016.11.30 |
눈 다래끼원인과 증상을 알고 예방해요 (0) | 2016.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