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모넬라균,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치료와 예방법
본격적인 여름철에 접어들며 무더위와 비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런 날씨일수록 음식물이 유발하는 식중독이나 배탈, 장염 등 유행성, 감염성 질병들에 노출되기가 쉬워 주의를 많이 하셔야 하는데요, 건강한 여름 나기와 즐거운 여름휴가를 위해 대표적인 여름철 식중독인 장염 비브리오와 살모넬라균 식중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식중독이란?
음식물 섭취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과 유독 물질 때문에 발생하는 감염성과 독소형 질병으로 식중독에 걸리게 되면 복통과 더불어 구토, 설사, 그리고 열과 오한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우리의 방심과 부주의를 파고드는 식중독. 식중독의 원인은 다양한데요, 대표적으로는 비위생적으로 조리된 식품을 먹거나 손을 자주 씻지 않는 것입니다. 잘못된 음식물 보관 등의 개인위생 불량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식중독 중에도 장염 비브리오와 살모넬라균은 대표적 감염형 식중독으로 더워지는 여름철 특히나 조심하셔야 할 식중독균입니다.
장염 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
장염 비브리오균은 바닷물에 존재하는 식중독균으로 이 균은 해수의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증식해 20~37℃ 온도에서 3~4시간 만에 그 숫자가 100만 배로 증가하는 무서운 균입니다. 요즘같이 더운 여름철이나 특히나 평소 해산물과 어패류를 즐겨 드시거나 바닷가로 휴가를 계획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할 균입니다.
장염 비브리오의 주요 원인은 어패류와 생선회 섭취, 그리고 이것들을 손질한 손이나 칼과 도마를 통한 2차 감염이며, 증상으로는 음식물 섭취 후 10시간에서 24시간 경과 후 복통, 구토, 미열, 오한과 함께 설사, 위장염 등이 생깁니다.
장염 비브리오 예방법
1. 어패류는 꼭 수돗물로 2~3회 이상 잘 씻어내고 사용해야 합니다.
2. 횟감용, 어패류, 수산물에 사용하는 칼과 도마는 타 용도의 주방 도구들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며, 손질에 사용한 조리 기구는 깨끗이 세척 후, 가능하면 가열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합니다.
3. 여름철에는 최대한 날 것으로 먹는 것을 지양합니다. 음식물을 85℃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살모넬라균 (Salmonella)
살모넬라균이란 운동성이 있는 균으로 생체의 내부로 침입할 경우, 장내에서 분열되어 독소를 생산해내는 균입니다. 주로 우유, 유제품, 육류, 생선 등의 다양한 식품이 원인이 되지만, 대부분 살모넬라균은 계란에 존재합니다. 심지어 계란 속에 침투하여 계란 노른자 속에도 살모넬라균이 존재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살모넬라균의 증상으로는 12시간에서 72시간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이후 구토, 복통, 설사를 동반한 두통과 미열이 올 수 있습니다.
살모넬라 예방법
1. 반드시 조리한 계란과 육류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계란 표면에 닭의 분비물과 접촉되어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었을 수 있으므로 계란 구매 시 표면을 유심히 살피고 깨끗한 계란으로, 냉장 보관된 계란을 사고 즉시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3. 계란과 계란을 포함하고 있는 식품과 접촉했다면 반드시 뜨거운 비눗물로 손과 주방용품, 주방을 세척합니다.
식중독 예방 소금으로?
위에서 소개한 대표적인 식중독균 두 가지를 포함한 각종 식중독의 원인을 제거하고 식중독 증상을 완화할 방법에는 소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음식에 소금으로 충분히 간을 하는 것은 식품에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소금은 예로부터 조상들이 사용해온 가장 완벽한 천연 방부제입니다.
여름철 대표적 식중독인 장염 비브리오와 살모넬라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위 두 가지 식중독균의 예방은 물론이고 여름철을 안전하게 보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다양한 방법들과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방법들을 지키셔서 탈 없이 건강하고 쾌적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신우신염 증상 및 원인 (0) | 2015.07.16 |
---|---|
어식백세(魚食百歲), 여름철 기력회복에 좋은 음식 (0) | 2015.07.14 |
친환경세제 청소법! 여름철 집안청소 노하우 (0) | 2015.07.06 |
보름달물해파리, 노무라입깃해파리 쏘였을때 예방방법 (0) | 2015.07.01 |
어식백세(魚食百歲) 국민건강 캠페인으로 장수하세요. (0) | 2015.06.30 |